본문 바로가기
하와이 살이

하와이 한 달 생활비는 얼마나 들까?

by 로코모꼬 2022. 12. 4.
반응형

우리 부부가 하와이로 이주하기로 결심했을 때 가장 걱정되기도 하고 궁금했던 점이 '생활비'였다.

각자 처한 상황(소비 성향, 가구수 등)이 다르기 때문에 정확히 얼마다라고 정의 내리긴 어렵지만 하와이로 이주할 예정이거나 한 달 살이를 준비하는 분들에게 조금이나마 도움이 되었으면 좋겠습니다!

기본 전제
- 2인 가구
- 자녀 없음
- 반려동물 없음
- 오하우섬(호놀룰루) 거주
- 안정화 기준(초기 정착비용 미반영)
- 외식 잘 안함 / 식탐 있음

하와이는 관광지이고 섬이라는 특성 때문인지 미국 다른 지역에 비해 생활비가 다소 높은 편이다.

1. 주거비
주거비의 경우 지역, 규모, 형태 등에 따라 가격이 천차만별이다. 참고로 나는 주거비를 매월 허공에 날리는 게 너무 아까워 호놀룰루 지역에 원룸짜리 작은 신축 콘도를 구매했는데 월세로 환산하면 대략 $3,000 정도 되는 것 같다. (숙소 관련해서는 이전에 상세히 정리한 글이 있는데 아래 글 참고 바랍니다)

https://loco.tistory.com/26

하와이 숙소 구하기(부동산 구매 vs 임차)

우리가 하와이로 이주해온 시점(2022년 3월)의 하와이 부동산 시장은 뜨거웠다. 파월 형님이 Transitory를 외치며 공격적인 금리를 단행하기 전이었고, 우크라이나 전쟁이 장기화되어 고삐 풀린 망

loco.tistory.com

주택 정보(구매/렌트)는 한국의 직방 같은 회사인 'www.zillow.com'나 'www.redfin.com' 에서 둘러보면 되고, 자문이 필요하다면 하와이 현지 리얼터에게 연락해서 도움을 받으면 된다.

2. 식비(생활용품 구입비 포함)
마트 구경하고 집에서 요리해서 먹는게 우리 부부의 최애 취미다. 그래서 남들에 비해 장 보는데 많은 비용을 지출하는 반면, 외식을 거의 안 하는 편이다.

- 장보기(Groceries): $1,100 ~ $1,200/mo
- 외식비(Dining): $200~$300/mo
- 소계: $1,300 ~ $1,500/mo

식자재와 생활용품(주방용품/욕실용품 등)은 주로 코스트코(Costco)에서 구매하는 편이고, 가끔 홀푸드(Whole Food)나 타겟(Target)을 이용하는 편이다.

참고로 하와이 코스트코가 좋은게 아시안 거주 비율이 높아서인지 한식 재료(김치, 김, 멸치육수, 라면, 만두 등)를 많이 구비하고 있다. 정말 갓스코가 없었다면 하와이 살이가 조금 팍팍했을 수도 있었을 거다.

국내산 종가집 김치도 판다($6.99/1.2kg)


한인마트(H마트, 팔라마슈퍼)나 일본 마트(돈키호테)의 경우 가격대가 조금 있는 편이라 미국 마트에서 구하기 어려운 아시안 소스류(고추장, 간장 등)나 떡볶이 재료 등 꼭 필요한 재료가 있을 때만 가끔 방문하는 편이다.

커피는 매번 사먹다 보니 부담도 되고 귀찮기도 해서 얼마 전 블프 세일할 때 반자동 커피 머신을 입양해 와서 집에서 내려 마시고 있는데 매우 만족스럽다. 브레빌 강추합니다.

마지막으로 그린어니언(쪽파?)와 바질 같은 허브류 채소의 경우 매주 토요일 열리는 주말 마켓(Farmer's Market)이 가격도 착하고 신선해서 자주 이용하는 편이다. (한 묶음에 $2~3불 정도 하는데 홀푸드 보다 저렴하고 상품 퀄리티도 좋다)

3. 의료보험
하와이에서는 'HSMA'랑 'Kaiser'를 주로 쓰는 것 같고 직장이 있다면 일반적으로 회사에서 보험은 지원해준다. 다만, 개인 사업자이거나 직장이 없다면 사비로 지출해야 하는데 이 경우 조건에 따라 통상 인당 $400정도 발생하는 것 같다.
(보험료는 자기 부담금이 적고 Out of Packet(최대 지불금액)이 낮을수록 높다)

- 의료보험료: $400 x 2 = $800 (HMSA 중간급 상품 기준)
- 소계: $800/mo

4. 차량유지비
내가 살고 있는 오하우섬은 규모도 작고 우리가 활동 범위가 그리 넓지 않아 차를 많이 이용하지 않는 편이다. 주유는 월 1회 정도 코스트코에서 하고 있고 자동차는 현금으로 구매해서 금융비는 발생하지 않고 있다. (외각에 거주하시는 분들은 조금 더 사용할 듯하다)

- 주유비: $50/mo(코스트코 이용)
- 주차비: $20/mo(콘도 주차비 없음)
- 보험료: $90/mo(차량, 보험 조건 및 운전기록에 따라 상이함. 만약 미국 운전기록이 없다면 보다 높게 책정될 수 있음)
- 자동차 감가비: $300/mo(매년 10% 정도 가격 감가가 발생한다고 가정)
- 기타: $40/mo(세차, 소모품교체, 등록세 등)
- 소계: $500/mo

5. Utility
- 전기세: $70/mo (집이 작아서 적게 발생하는데 일반적으로 월 $100~200 정도 발생함)
- 물세: 없음(HOA 포함, 콘도 별 상이)
- 인터넷/TV: 없음(HOA 포함, 콘도별 상이)
- 소계: $70/mo

6. 통신료
휴대폰은 민트 모바일을 사용 중이라 조금 메이저 통신사 대비 저렴한 편에 속하는데, 조금 느린 편이다.
- 통신료: $30(unlimited) x 2인
- 소계: $60/mo

7. 기타 비용(쇼핑, 가족/지인 방문, 여행 등)
우리 부부는 아직 자녀가 없고 쇼핑도 관심이 없다 보니 상기 고정비 외 추가로 발생하는 비용은 크지 않는 편인데, 지인이나 가족 방문 시 발생하는 비용을 고려해 보면 매월 $500 정도는 추가로 지출하는 것 같다.
- 소계: $500/mo

Case 1. 월 고정 지출비: $5,730~$5,930/mo
Case 2. 지출비(기타 비용 포함): $6,230 ~$6,430/mo
Case 3. 지출비(기타비용 포함, 보험료 제외(회사 지원 가정)): $5,430 ~ $5,630/mo

계산해 보니 매월 $5~6,000 정도는 있어야 기본적인 생활이 가능한 것 같고, 만약 자녀가 있거나 가족 구성원수가 더 많다면 이보다 더 많은 비용을 예산으로 반영해야 할 것 같다.

산책이나 하자


하와이가 다른 지역에 비해 생활비가 높다는 건 부인할 수 없다.

하지만 남들은 일주일에 돈 천만 원씩 들여 놀러 오는 하와이에서 매일 같이 아름다운 자연환경과 환상적인 날씨를 만끽하며 살아갈 수 있다는 점을 고려해 보면 그다지 높은 비용도 아닌 것 같다.

하와이의 높은 비용을 앞으로 얼마나 더 감당해 낼 수 있을지 모르겠지만 지내면 지낼수록 너무 좋다.
열심히 일해야겠다. ㅎㅎ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