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주절주절17

은퇴 후 창업(자영업)을 고려한다면 얼마 전 한국에 있는 친구와 나눈 내용입니다. 친구: 하아, 회사 뭐 같은데 그냥 다 때려치고 펍이나 차려볼까?ㅎㅎ 나: 백쌤만큼 열정적으로 잘 할 자신 없으면 그냥 일이나 열심히 하자 친구야. (그리고 트위터 본 아래 짤 투척) 친구: (...) 퇴직하신 분들이 다음 선택지로 가장 많이 고려하는 게 바로 창업(자영업)입니다. 대한민국의 자영업자 비율은 약 25%로 매우 높은 편에 속합니다. 이는 미국의 약 4배, 일본의 약 2.4배 수준입니다. 언론에서 발표하는 통계자료를 보면 창업 후 5년 이상 버티는 자영업자 비율은 30%도 채 안된다고 합니다. 사실상 생존 가능성이 매우 낮다는 의미죠. 사람들은 외식을 하면서 가끔 이런 생각을 하곤 합니다. (물론 저도 이런 망상을 가끔 합니다만..) '어? 뭐야.. 2023. 2. 13.
한국인의 명품 사랑, 전세계 1위 등극 모건스탠리에서 작성한 명품 소비 분석 보고서에 따르면 전 세계에서 사치품(Luxury good) 소비에 가장 진심인 나라는 다름 아닌 킹한민국이라 합니다. (한국: $325, 미국: $280, 중국: $55) 'Luxury Good'은 '사치품'으로 표현하는게 맞지만 이 경우 대중들에게 거부감을 일으킬 수 있어 '명품'이라는 그럴싸한 단어로 바꾸어 사용했다고 합니다. 맞춤형 마케팅인 셈이죠. 이와 관련하여 블룸버그 통신은 한국인들의 명품 소비가 크게 증가한 배경으로 1) 집값 상승에 따른 주택 소유주들의 도취감과 2) 급격한 자산 상승으로 부를 형성하는 것을 포기하고 욜로(YOLO) 라이프를 추구하는 젊은 세대들이 늘어났기 때문이라고 분석합니다. 이 기사를 보고 정말 안타까운 생각이 드는게, 주택 가격이.. 2023. 2. 10.
차례와 제사 문화 미래 세대에 물려 줄 필요가 있을까? 명절은 가족과 이웃 간 정을 나누며 행복한 시간을 보내는 게 본래의 목적인데, 과거부터 잘못 뿌리내려진 차례(제사) 문화로 진짜 목적이 퇴색되어 버린 게 아닌가 싶다. 나는 많은 이들이 꺼려한다는 종갓집 장손이다. 요샌 제사를 지내지 않는 것도 결혼 시장에서 주요 스펙이라던데, 이게 사실이라면 난 엄청난 페널티를 받고 출발선에 섰던 셈이다. 명절 내내 차례상 음식을 준비하는 어머니를 곁에서 지켜보던 게 명절에 대한 내 어릴 적 기억이다. 최근에 많이 개선되었다고는 해도 가사 노동에 대한 부담은 여전한 것 같다. 내가 차례 문화를 싫어하는 이유다. 돌아가신 분을 기리는 문화는 전 세계 어딜 가나 존재한다. 하지만 소신 발언 하자면 한국의 차례 문화는 고인을 기리는 마음 보단 화려한 차례상과 제사라는 형식에.. 2023. 1. 23.
거품 낀 결혼식 문화 이젠 좀 변해야 하지 않을까? 2023년 대한민국. 돈 없으면 결혼도 어려운(?) 시대라고 한다. 통계청에서 집계한 조혼인율 추이를 보자. 매년 하락세를 보이고 있는데 이런 추세는 매년 가팔라지고 있다. 결혼을 꺼리는 수만 가지 이유가 있겠지만 아무래도 금전적인 이유가 가장 클 것 같다. JTBC에서 방영 중인 결혼 관련 프로그램을 보니 스드메와 신혼여행비를 포함한 결혼 비용이 무려 5,500만원이라고 한다. (심지어 주거비와 혼수비용은 포함되지도 않았다) 위 예시는 조금 고급스러운 예식장 기준일 것이고, 만약 고급 호텔에서 식을 올릴 경우 결혼비용만 7천~1억까지 발생할 수 있다고 한다. 정말 말도 안 되는 가격이다. 이 인간들이 수요가 줄어드니 가격 인상으로 수익을 맞추려는 건가...? 일생에 딱 한번 있는 이벤트니까 괜찮다며 자.. 2023. 1. 18.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