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절주절

한국인의 명품 사랑, 전세계 1위 등극

by 로코모꼬 2023. 2. 10.
반응형

모건스탠리에서 작성한 명품 소비 분석 보고서에 따르면 전 세계에서 사치품(Luxury good) 소비에 가장 진심인 나라는 다름 아닌 킹한민국이라 합니다. (한국: $325, 미국: $280, 중국: $55)

'Luxury Good'은 '사치품'으로 표현하는게 맞지만 이 경우 대중들에게 거부감을 일으킬 수 있어 '명품'이라는 그럴싸한 단어로 바꾸어 사용했다고 합니다. 맞춤형 마케팅인 셈이죠.

출처: 슈카월드 영상


이와 관련하여 블룸버그 통신은 한국인들의 명품 소비가 크게 증가한 배경으로 1) 집값 상승에 따른 주택 소유주들의 도취감과 2) 급격한 자산 상승으로 부를 형성하는 것을 포기하고 욜로(YOLO) 라이프를 추구하는 젊은 세대들이 늘어났기 때문이라고 분석합니다.

이 기사를 보고 정말 안타까운 생각이 드는게, 주택 가격이 상승했다고 과연 사치품을 소비할 만큼 부를 쌓았다고 볼 수 있을까요?

한국인의 자산 대부분(약 70~80%)은 부동산(집)에 집중되어 있습니다. 사실상 자가 목적의 집 한 채가 보유한 자산의 전부라고 볼 수 있습니다.

집 값이 상승 해도 대부분 인플레이션만큼 상승했을 가능성이 높습니다. 거주하고 있는 집을 처분하고 다른 곳으로 옮기려 해도 지금 살고 있는 집과 비슷한 금액을 지불해야만 기존 환경을 유지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부동산 가격이 상승했다고 해서 사치품을 소비하는데 필요한 여유 자금이 생겼다고 보기엔 조금 무리가 있습니다.

자산 가격이 상승했다고 모든 걸 포기하고 욜로(YOLO)를 외치는 건 또 어떤가요?

살벌한 늑대들이 판치는 투자판에서 우리 같은 개미들이 보유한 유일한 무기는 '시간'입니다. 좋은 자산을 잘 선별해 장기간 보유하며 복리효과를 누린다면 충분히 가난의 사슬을 끊어 낼 수 있다고 생각합니다.

아래는 $10,000을 사치품을 구매하는데 사용했을 때와 좋은 자산에 10년 이상 투자했을 때 예상되는 가치입니다. 만약 애플이나 테슬라와 같은 미래 유망한 회사를 초기에 잘 발굴하여 장기간 보유 할 경우 높은 수익률을 거둘 수 있습니다. (아래는 예시이며, 과거의 실적이 미래 실적을 보장하지는 않기에 참고 정도만 부탁드립니다)

물론, 미래유망한 성장주를 초기에 발굴해서 투자하는 건 매우 어렵습니다. 중간에 역사 속으로 사라지는 회사들도 많기 때문이죠. 여전히 리스크는 존재하지만 상대적으로 안전한 S&P 500 기업을 추종하는 인덱스펀드에 투자하더라도 연간 12%(과거 수익률 기준, 미래 보장 X)의 수익률을 기대해 볼 수 있습니다. 따라서 현재 가진 게 없다고 낙담하지 말고 젊은 시절부터 안정적인 현금 흐름이 발생하는 우량 자산을 모아가는 습관을 길러야 한다고 생각합니다.

수익률 예시(수익률 출처: averageannualreturn.com)

구분 투자금액 수익률(과거 10년 평균) 투자기간(10년)
명품가방(사치품) $10,000 - -
S&P 500 상동 12.58% $32,607 (약 3배)
애플 상동 26.21% $102,485 (약 10배)
테슬라 상동 54.74% $786,152 (약 79배)


한국인들이 사치품에 집착하는 이유는, 낮은 자존감과 남의 시선을 불필요하게 의식하는 사회 분위기 탓도 무시하기 어렵다고 봅니다.

어디에 거주하고, 어떠한 차를 몰고, 무슨 가방을 들었는지가 그 사람의 사회적 지위를 판가름하는데 매우 중요한 척도로 여겨집니다.

아이러니하게도 미국보다 서울에 고급 외제차량이 더 많이 돌아 다닙니다. 꼭 외제차가 아니더라도 사회에 갓 진출한 젊은 친구들이 영끌해서 차를(영업용 제외) 구매하는 걸 보면 정말 안타까운 마음이 듭니다. (전 세계에서 대중교통 인프라가 가장 잘 갖춰진 나라인데 도대체 왜?)

능력이 충분하다면 문제 없지만, 고가 차량을 구매한 젊은 층 다수는 영끌을 했거나 리스로 매달 높은 비용을 지불하고 있을 것으로 추측됩니다. 1~2초간의 하차감을 위해 은퇴 시기를 무려 10년이나 뒤로 미루는 실수를 범한 셈이죠.

자신의 소득 수준을 넘어서는 사치품을 구매하는 사람들을 보면 대부분 자존감이 낮은 편에 속합니다. 값비싼 옷과 장신구로 치장하면 남들이 부러워하고 인정해 줄 것 같지만 본인 스스로가 명품이 아니라면 잠깐의 이목을 끌 수는 있을지언정 지속가능하지는 않다는 점을 알았으면 합니다. 사람들은 일론이나 재드래곤이 어떠한 옷을 입고 있는지는 관심 없고 그들의 말과 행동에 주목합니다. 그들 자체가 명품이고 존경받는 대상이기 때문입니다.

리치리치


슈카형도 지난 주말 영상에서 언급했지만, 현재 한국은 1990년 일본 부동산 거품이 꺼지기 직전과 매우 흡사한 모습을 보이고 있습니다.

당시, 일본 젊은 세대들도 치솟은 자산 가격에 낙담하고 가정을 꾸리기 보단 본인을 위해 소비하기 시작했습니다. 젊은 남성들은 외제차를 끌기 시작했고, 여성들은 명품이나, 해외여행에 많은 돈을 사용합니다. 지금의 한국과 흡사한 모습입니다.

지금과 같이 탄탄한 경제가 유지된다면 좋겠지만, 만약 혼인과 출산율이 계속 감소하고 노령 인구만 늘어난다면 어떻게 될까요? 과거 일본만큼은 아니더라도 언제든 충격이 발생할 가능성은 존재한다고 봅니다. 따라서, 지금이라도 미래 대비를 위해 사치품이 아닌 진짜 명품(자산)을 모아가는데 일등인 킹한민국이 되었으면 좋겠습니다.

반응형

댓글